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최근 한국에서는 보이스피싱 등 금융 사기를 예방하기 위해 다양한 비대면 거래 차단 서비스가 도입되었습니다. 이러한 서비스들은 전 연령층을 대상으로 하며, 특히 고령자와 디지털 취약계층에게 큰 도움이 되고 있습니다.

     

    여신거래 안심차단 서비스 신청
    여신거래 안심차단 서비스 신청

     

     

     

    1. 신용거래 차단 서비스-여신 거래 안심 차단 서비스(Credit Transaction Safe Block)

    금융위원회는 2024년 8월, 보이스피싱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신용거래 차단 서비스'를 도입했습니다. 이 서비스는 소비자가 사전에 대출을 차단하도록 설정하면, 본인의 동의 없이는 어떤 금융기관에서도 신규 대출이 불가능하게 됩니다. 현재 4,000개 이상의 금융기관이 이 서비스에 참여하고 있으며, 고객은 자신의 은행이나 주요 금융기관, 우체국 등을 통해 신청할 수 있습니다. (New preventive measure launched against loan application fraud | Yonhap News Agency)

    2. 비대면 거래 차단 서비스

    보이스피싱 범죄는 피해자에게 스파이 앱을 설치하게 하여 개인 정보를 탈취하고, 이를 통해 대출을 받는 방식으로 이루어집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금융당국은 비대면 거래 차단 서비스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이 서비스는 소비자가 직접 금융기관을 방문하여 차단 설정을 해제하지 않는 한, 어떤 비대면 거래도 불가능하게 합니다.

    3. 모바일 패스 이름 방지 경고 서비스

    모바일 패스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인증 서비스로, 보이스피싱 범죄자들이 이를 악용하여 피해자의 이름으로 인증을 시도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금융기관들은 모바일 패스 이름 방지 경고 서비스를 도입하여, 의심스러운 인증 시도를 탐지하고 사용자에게 경고를 제공합니다.

    4. 전 연령층을 위한 교육 및 안내

    금융당국은 이러한 서비스를 전 연령층이 쉽게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과 안내 자료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특히 고령자와 디지털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한 맞춤형 교육이 진행되고 있으며, 금융기관의 창구에서도 상세한 안내를 받을 수 있습니다.

    5. 서비스 이용 방법

    • 신청 방법: 자신의 은행, 주요 금융기관, 우체국 등을 방문하여 신청할 수 있습니다.
    • 해제 방법: 설정 해제를 원할 경우, 반드시 본인이 직접 금융기관을 방문하여야 합니다.
    • 주의사항: 설정 후에는 어떤 비대면 거래도 불가능하므로, 필요시에는 사전에 계획을 세워야 합니다.

    이러한 서비스들은 보이스피싱 등 금융 사기로부터 자신을 보호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금융기관이나 관련 기관에 문의하여 자세한 정보를 확인하고, 필요한 서비스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